반응형
중국이 값 싼 반도체로 인공지능(AI) 모델을 구현한 ‘딥시크’를 내놓으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전략을 두고 어려움이 있을 전망이라고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그간 엔비디아 납품에 심혈을 기울이는 등 미국 중심의 AI 반도체 전략만 짜 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난 1.27일 중국 딥시크는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을 발표했다. AI 반도체는 더 많은 투자와 더 비싼 칩을 투입해야 한다는 규모의 법칙을 벗어나 더 나은 제품을 내놓은 것입니다.
그간 미국에만 투자와 수출을 집중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선 예상치 못한 일입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3E를 공급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HBM3 공급에 이어 HBM3E 8단의 공급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고성능 제품용 HBM의 90% 이상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거의 독점 공급으로, 이를 통해 지난해 4분기 HBM 사업에서 5조8510억원의 매출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이는 전체 D램 매출의 40% 규모입니다.
중국이 저사양의 반도체만으로도 고성능 AI 모델을 구축했다는 사실에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예상도 악제입니다
대중국 수출 규제가 현실화하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4세대 HBM인 HBM3을 중심으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HBM3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을 위해 성능을 낮춘 저사양 AI 가속기에 주로 들어갑니다.
대외 악재가 겹치면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지난 1.31일 주가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다만 추가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봅니다. 오히려 중장기적으로 국가 및 기업 간 AI 경쟁을 부추겨 AI 인프라 수요가 확대될 것이란 의견이 다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아도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어쩌나. 유시민에 이어 빌게이츠도 가상화폐는 사기라고 밝혀 (0) | 2025.02.02 |
---|---|
이거 실화? 더본코리아 주주 99%가 손실권(2.1) (2) | 2025.02.01 |
엔비디아 주가 하락(1.27일)은 투자의 기회인가 (0) | 2025.01.28 |
채권투자에 대한 이해 (0) | 2025.01.18 |
배당금을 주는 기업에 투자해야 합니다.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