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병인일주를 학당일주라고 합니다. 공부와 관련된 귀인이 둘이나 있기 때문입니다. 문곡귀인, 학당귀인이 바로 그것입니다.
인수(어머니)인 寅이 배우자 자리에 있는 모습은 고부갈등을 내포합니다.
또 어머니와 연은 강하지만 아버지와 연이 약하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십이운성상 병화가 봤을때 寅은 장생지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 누구나 귀여워 하고 이뻐해 주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배우자의 사랑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좌법상 인수인 갑목이 건록에 해당하니 두뇌가 우수하고 왕성한 활동을 자랑합니다. 대부분 말을 잘하고 수단도 좋습니다.
또한 寅의 지장간은 戊, 丙, 甲인데 여기서 戊토는 식신에 해당하고, 이 식신이 장생지에 있다는 것은 평생 먹고 사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고 재복이 많은 것은 아닙니다. 일지만 봤을때 재운은 약하지만 통장에 돈이 없더라도 먹고 사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 寅에 숨어있는 지장간 丙火는 비견으로 형제, 자매를 의미하는데, 어머니는 천간에 떠있는 본인보다 지장간에 숨어있는 형제, 자매를 더 가깝고 친하게 지낸다는 것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여명의 경우 남편에 해당하는 관은 태지 또는 절지에 해당되므로 남편덕이 약합니다.
병인은 홍염에 해당하며, 인기가 있고 이성과 인연을 맺기 수월합니다.
寅목은 申금을 만날 경우 역마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 해외 등으로 멀리 떠나 그곳에서 학업을 이어가 대성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병인일주는 공부를 잘합니다.
반응형